본문 바로가기

커버드콜 투자로 건물주처럼 노후 보내기② (커버드콜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다락방 중년 2025. 2. 19.

2.  커버드콜에 대해서

 

 

1)   커버드콜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대부분의 사람들이 경제적으로 자유를 얻고 싶어 합니다. 이는 직장 생활이나 사업장등에 매여 있지 않아도 되는 시간적인 자유뿐만 아니라 재정적인 문제 때문에 선택의 폭이 좁아지는 문제들에서 탈피가 가능한 정도의 선택적 자유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런 경제적인 자유를 누리고 싶다면 과연 얼마의 돈이 내 수중에 있어야 가능한 것일까요?

 

사람들마다 그 크기가 다르겠지만 여기서는 평균적인 금액으로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겨레  2023 년 기사

 

상기의 내용은 2023년 신문의 기사입니다. 평균적으로 약 350만 원 이상의 은퇴자금을 사람들은 원한다고 합니다.

이 데이터를 근거로 여기에 아래와 같이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60세에 은퇴를 하고 90세까지 산다고 가정을 했을 때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 상승률(매년 2%)을 감안한다면 매달 필요 생활비는 표 2-1과 같습니다. 물가 상승률을 감안하니까 숫자가 크게 증가하지요? 심지어 90세까지 수명을 가정했을 뿐인데 만약 정말 100세 시대가 되어 100세까지 살게 된다면 약 770만 원이 됩니다. 여기에 우리가 지금도 열심히 납입하고 있거나 납입하였던 국민연금을 한 달에 약150만 원 수령이 가능하다고 가정해 봅시다. 1969년생 이후는 국민연금이 만 65세 이후부터 수령이 가능한 것은 다들 잘 알고 계시죠?

60 3,500,000 국민연금
150만원 수령시
65 3,864,283 2,364,283
70 4,266,480 2,766,480
80 5,200,815 3,700,815
90 6,339,765 4,839,765

(표2-1)연령별 필요 생활비

 

대충 보이시나요? 우리가 90세에 세상을 떠나기 전에 여유 있게 월500만 원 정도는 매달 생활비가 나오는 구조를 만들 수가 있다면 현재의 평균적인 삶 이상 누릴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럼 우리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별도의 다른 경제활동이 없이 경제적 자유를 여유롭게 누리면서 매달 500만 원을 만들어 내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 봅시다. 단순화하여 계산하였고 세금과 관련한 문제는 일단은 배제하도록 하겠습니다.

 

 

본 문서의 전자책 구매 → 여기

 

커버드콜 투자로 건물주처럼 노후 보내기 - 크몽

다락방중년 전문가의 전자책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p>커버드콜 ETF의 상품들이 다양해지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

kmong.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