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드콜 투자로 건물주처럼 노후 보내기⑭ (기초자산의 변동성에 대해서)
◆ 기초자산의 변동성에 대해
자 여기까지 크게 커버드콜 전략의 몇 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커버드콜 전략의 특징에 대해 하나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아래의 차트 그림3-2를 주목해 주시기 바랍니다. 위에 제가 QYLD에 대해서 언급을 드렸죠. 나스닥 100인 QQQ를 기초자산으로 하고 이 자산의 100%를 옵션매매에 임하는 전략을 취하는 커버드콜 상품입니다. 이에 반해 XYLD라는 상품은 SPY(S&P500)이라는 기초자산을 가지고 마찬가지로 자산의 100%를 옵션매매에 임하는 전략을 취하는 상품입니다.
앞서서 제가 QYLD의 안 좋은 점만 부각시켜서 말씀드렸습니다만 동일한 조건으로 XYLD를 비교하면 얼라? 상장 후 10년 동안 XYLD는 상장가 대비 약 11%정도만 주가가 빠졌네요? 둘 다 동일하게 기초자산의 100%를 옵션으로 판매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는데 왜 이런 차이가 발생을 할까요? 이는 기초 자산의 변동성 때문입니다. 동일한 기간내 기초자산인 SPY와 QQQ의 차트를 비교해 볼까요? (그림3-3)
대부분 잘 알고 계시겠지만 기술주 위주의 상위 100개를 모은 QQQ가 미국의 우량기업 500개를 모은 SPY보다 변동성이 훨씬 큽니다. 이 말은 내릴 때는 많이 내리고 오를 때는더 많이 오른다는 뜻이죠. 커버드콜은 변동성에 투자를 하는 것이라고 말씀을 드렸죠? 그럼 QQQ와 SPY중 어느 것이 더 옵션 프리미엄 가격이 높을까요? 네 당연히 QQQ가 높습니다. 변동성이 적으면 주가의 변화폭이 크지 않기에 옵션가격을 높게 지불할 이유가 없습니다. 옵션 가격을 지급하고서라도 더 많은 미래의 수익을 옵션구매자는 원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미래의 수익이 크지 않다(변동성이 적다)라고 생각되면 옵션가격은 높게 책정이 되지 않습니다. 이는 QYLD와 XYLD의 분배금 차이에서도 확실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림3-4)
본 문서의 전자책 구매 → 여기
커버드콜 투자로 건물주처럼 노후 보내기 - 크몽
다락방중년 전문가의 전자책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p>커버드콜 ETF의 상품들이 다양해지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
kmong.com
'커버드콜 투자로 건물주처럼 노후 보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버드콜 투자로 건물주처럼 노후 보내기⑯ (미국시장의 주요 커버드콜 ETF 비교표) (12) | 2025.03.18 |
---|---|
커버드콜 투자로 건물주처럼 노후 보내기⑮ (기초자산의 변동성에 대해서, 커버드콜 투자의 다양한 전략) (6) | 2025.03.17 |
커버드콜 투자로 건물주처럼 노후 보내기⑬ (ATM과 OTM) (9) | 2025.03.11 |
커버드콜 투자로 건물주처럼 노후 보내기⑫ (커버드콜 ETF의 분류와 특징) (4) | 2025.03.10 |
커버드콜 투자로 건물주처럼 노후 보내기⑪ (커버드콜 ETF의 장단점) (26) | 2025.03.07 |
댓글